서양의 명상② 한편, 서구 사회에서는 19세기 전후에 쇼펜하우어(1788-1860) 나 니체(1844-1900) 등, 힌두교와 불교의 동양사상을 열람하여 동서철학의 유사성을 발견하고 무신론(無神論)을 표명하는 선각자들이 나타났다. 로서 기독교를 신랄히 비판했던 니체는 또한, ‘불교는 삶에 지친 노인들을 위한 종교다.’라고 비판하며, ’대지에서의 삶을 사랑할 것’을 주장하였다. 니체는 ‘삶의 중심을 삶 속에 두지 않고 오히려 피안에 옮기면 그것은 결국 삶에서 중심을 제거시킨 셈이 된다. 개인의 불사(不死)라는 굉장한 거짓은 본능에 있어서의 모든 이성 모든 자연을 파괴시킨다.’고 하였다. 이어서 20세기에는 인간주의 철학인 현상학과 실존주의 철학이 등장하여 장 폴 사르트르(1905-1980)의 ‘실존주의는 ..